본문 바로가기

정보

미국, 유가 고공행진에 비축유 방출하나?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미국이 중동의 이란에 대한 이란 제재가 다시 시작되면서

국제유가의 가격이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전시 등의 긴급 상황에 대처하려고 비축한

전략비축유(SPR)를 시중에 푸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7월 13일에 익명의 정보를 인용하여 미국 정부와

서방국들이 향후 유가의 추가 상승에 대비해 비축유를 푸는

방안에 관한 검토에 들어갔다고 뉴스 언론이 전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 산유국

증산을 요구하는 한편으로 자국의 비축유를 감축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은 1973년 아랍의 석유수출 중단 조치로 1차 석유파동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전략비축유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현지 비축된 원유는 660억 배럴 규모에 달합니다,

 

이전에 미국은 1991년 걸프전 발발과 2015년에

초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인한 멕시코만 유전의 생산 중단,

2011년 리비아의 생산 차질을 이유로 3차례에 걸쳐

비축유를 긴급히 방출한 전례가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이례적으로 전략비축유 방출 안을 검토하고 나선 것은

이란 핵 합의 파기로 이란 원유 금수 조치가 다시 발동되면서

국제유가가 최근 들어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사우디 등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의

주요 석유 수출국들은 지난달 오스트리아 빈에서

회의를 열고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 증산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실제 이들 산유국의 증산 여력이

하루 60만 배럴 수준 밖에되지 않기 때문에

이란산 원유 수출이 끊어지면서 생길 공백을 모두

메우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이 많은 상황입니다,



7월 13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이전에보다 배럴당 10%(068달러) 오른

7101달러에 거래를 마무리했으며 원유 가격은 최근에

다소 진정되기는 했지만, 연초보다는 10% 이상 급등한 상태입니다,


다만, 현재 미국 정부의 검토는 초기 단계로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도 상당한 의견 차이와

갈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몇몇 시각에서는 향후 유가가 추가로 10% 이상

상승하는 사태가 닥칠 때에야 미국의 전략비축유 방출이

진지하게 검토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아직은 비축유 방출을 '최후의 수단' 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