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남해안 해역 보름달물해파리 대량 발생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6월 8일에 대한민국의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남해안 일부 해역에서

보름달물해파리가 대량으로 발생하게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5월 3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해안과 남해안에 대한

해파리 모니터링을 한 결과 경남 고성군의 자란만, 고성만, 거제만과

전남 목포항에서 보름달물해파리 유체가 고밀도로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해당 보름달물해파리의 유체는 알을 깨고 나서 유생이 성체로 자라기

전 단계로 크기가 5cm 정도로 생식능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경남 고성과 자란만에서 발견된 유체의 밀도는

100제곱미터 당 94개로 거제만에서는 42개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해역에서는 2015년부터 보름달물해파리 주의경보가

자주 발령되었었는데요 주의경보의 기준은 100 제곱미터당

5개체 이상의 해파리 성체가 발견되면 발령된다고 합니다,



전남 목포항의 보름달물해파리 유체의 밀도로는 100제곱미터 당 평균 206개

조사된 해역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완도와 거금도 해역에서는

3개로 상대적으로 다른 해역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수산과학원은 높은 밀도를 보이는 유체들이 수온 상승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면 수산업에 큰 피해가 걱정된다고 말했습니다,

보름달물해파리는 알에서 깨어난 부착유생이 자가분열을 통해

최대 5천 마리의 성체로 늘어나게되는데요 대량으로 발생하면

그물과 어구를 손상하고 어획물의 신선도를 하락시켜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되며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수 취수구 막힘,

해수욕객 쏘임 사고, 해양생태계 교란을 유발하여 연간

3,000억 원에 해당하는 경제적 피해를 주게됩니다,



마지막으로 수산과학원은 5월 2일부터 6월 1일까지 동중국해에서 조사한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출현 밀도는 100제곱미터 당 0.015개로 매우 낮게

나타나 올해 우리나라 연안에 출현하는 양도 적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