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 중에서도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는 독사는
목이 분리되어도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을 물어서 독을 주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텍사스 토박이인 40살의 제러미 서트클리프는 지난달 5월 27일 아침에
산디아시 자택의 정원에서 잔디를 정리하다가 1m 20cm 길이를 가진
악질방울뱀(Western diamondback)을 발견하고는 삽으로 때렷는데요,
약 10분 뒤 몸을 숙여 뱀 사체를 치우다 목이 잘려 죽은 줄로만 알았던
이 뱀의 송곳니에 오른손 중지와 무명지를 30초 동안 물렸다고 합니다,
그렇게 부인의 신고로 출동한 911구급대의 도움을 받아서 헬기에 탑승하고 60km
떨어진 병원에 도착했지만 이미 몸 안에 독이 퍼져 내출혈에다 패혈증성 쇼크까지
온 상태였고 이때문에 보통은 해독제를 2~4회분만 맞으면 되는 것을 26회분을 맞고도
안정이 되지 않아 의학적으로 유도된 혼수상태로 있었다가 4일만에 깨어났습니다,
< 독사의 독을 추출하고 있는 모습의 사진 >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기는 했지만, 아직도 신부전에 시달리고 있으며,
손가락 일부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부인은 뱀이 죽은 뒤에도 물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고있었더라면 예방
조치를 했을 것이라면서 병원 관계자들도 이를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미국에서 목이 잘린 뱀에 물린 사례는 이 뿐만이 아닌데요,
지난 2016년 8월에는 펜실베이니아주 셰이드 갭에서 19살의 쿠엔틴 렘스버그가 이웃의
요청을 받고 방울뱀 잡는 것을 돕다가 머리 잘린 뱀에 왼손 집게손가락을 물렸었습니다,
3일간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했지만 1주일 뒤 물린 부위가 뜨겁고 따갑게 느껴져
병원을 다시 찾았으며, 결국 괴저병으로 손가락을 절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 독사가 독을 내뿜고 있는 사진 >
마지막으로 텍사스 A&M 대학 소동물임상의학과 수의사 크리스틴
럿거 박사는 머리 잘린 뱀에 물리는 것이 살아있는 뱀에 물린
것보다 더 치명적일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미식축구 선수들이
마지막 공격 때 전력을 다하는 것처럼 머리가 잘린 뱀은 가능
하다면 독분비선을 모두 써버리고 싶어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해 난민 떠넘기기로 갈등하는 유럽 (0) | 2018.06.13 |
---|---|
이영주 전 민주노총 사무총장 국민참여재판 개최 (0) | 2018.06.12 |
불법 사찰 우병우 법원에 보석 청구 (0) | 2018.06.12 |
트럼프와 김정은이 같이 사진을 찍으면 안되는 이유 (0) | 2018.06.11 |
주 52시간 근무제 정리, 바뀌는 것은? (0) | 2018.06.11 |